건축학 콘서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6)
    • 알고 보면 쉬운 건축학 (1)
      • 건축학 콘서트 (1)
    • 건축 속으로 (125)
      • 건축 이론 (39)
      • 광장의 구성원리 (9)
      • 미스와 꼬르뷔제 다시보기 (5)
      • 거장들의 작품 세계 (12)
      • 건축에 대한 소고 (21)
      • 포트폴리오 (25)
      • 건축 단상 (14)

검색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 [강연] 밀라노공대 새학기에는 특강들의 축제, 새로운 이슈 '보비자 신캠퍼스'

    2020.05.17 by Andrea.

  • [소고] 개학 전 밀라노 외곽 Piotello에 방문 -수수께끼의 연속

    2020.05.17 by Andrea.

  • [소고] 건설 시스템의 차이가 부른 공간의 질 차이

    2020.05.15 by Andrea.

  • [소고] 논쟁이 늘 피곤한 까닭: 건축가의 경우

    2020.05.06 by Andrea.

  • [소고] 건축할 때 가장 경계해야할 것

    2020.05.05 by Andrea.

  • [노트] 건축에서 '디자인' 개념의 유입과 혼동

    2020.05.05 by Andrea.

  • [노트] 건축 구성(배치)라는 개념에 대해

    2020.05.01 by Andrea.

  • [소고] 건축에서 '암묵지' 개념에 대해

    2020.04.30 by Andrea.

[강연] 밀라노공대 새학기에는 특강들의 축제, 새로운 이슈 '보비자 신캠퍼스'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1.18 학교에서 작업중 무언가 꿈틀거리는게 보였는데 작은 무당벌레 한마리. 너는 무얼 찾아 떠나는 중이니? 옆에 앉아있던 친구가 이탈리아에서는 무당벌레가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 작은 친구 이게 얼마만에 보는 살아있는 무당벌렌가... 이 작은 친구를 집어다가 창 밖 넓은 세상으로 던져주고. 밀라노공대는 10월 부터 시작된 새학기에 맞춰 곳곳의 코스에서 특강들이 계속해서 열리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합리주의 건축 혹은 이성적 건축 정도로 불리는 건축과 비슷한 성향의 건축을 주제로한 세미나들을 들으러 다녔다. 유럽의 합리주의/이성적 건축을 하는 건축가라는 말은 쉽게 말하면 디자인이 ..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17. 21:45

[소고] 개학 전 밀라노 외곽 Piotello에 방문 -수수께끼의 연속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08.29 여름방학의 끝자락 밀라노 외곽 Piotello으로 건축답사를 갔다. 햇수로 3번째 방문. 개학하면 본격적으로 10월 초에 있을 시험 대비에 전념해야 했기 때문에 어디 답사를 갈 수 있었던 마지막 찬스였다. 당시 우리조는 시험을 위해서 구조, 디테일, 설비 부분 평가는 주거 건물에 대해서만 작업하며 시험을 치르기로 한 상태였다. 이미 주거 건물에 대한 평면, 입면 설계는 1:200 스케일까지 거의 확정된 상태. 그 다음의 스케일로 들어가면서 설계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좀더 마이크로하게 계속해서 구조와 디테일 설계를 해야했다. 문제는 이런 부분에서도 역시 건축가의 통찰과 고민이 ..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17. 21:33

[소고] 건설 시스템의 차이가 부른 공간의 질 차이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0.25 실제로 방문해 피부로 느끼던 두 공간의 차이에 대한 이야기이다. 실제로 가보지 못하더라도 두 사진을 보고 최대한 상상해볼 수 있겠다. 각 공간에 서 있을 때 어떤 차이가 느껴질까? 사진만 봐서는 상상이 잘 가지 않을지도. 이 두 성당의 지붕 유형은 다르다. 공간감은 확연하게 다르다. 본인도 실제로 방문했을 때 느꼈던 차이는 상당했다. 혹자는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은 천장 벽화도 없고 장식도 적지 않은가?라고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조금 부수적인 문제는 덮어두고 보다 더 본질적인 부분을 살펴보길 선행해보려고 한다. 성 안드레아 성당 프로젝트의 이상 알베르티가 설계한 만..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15. 06:21

[소고] 논쟁이 늘 피곤한 까닭: 건축가의 경우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6.2 100분 토론을 보면 패널끼리 민주적인 토론이 되는 경우도 있고, 중학생 진흙탕 싸움처럼 유치하게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런 토론학에 대해서는 비록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토론을 보다보면 패널들 사이에 수준 차이가 본의 아니게 드러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차이로 인해 시청자 입장에서 토론이 재밌기도 하고 유치하기도 하다. ​ 건설적이고 민주적인 토론에서 있어야 할 시각 차이가 어째서 수준 차이로 변질되어버릴까? ​ 이는 건축이라는 주제에서도 마찬가이이다. 이은영 건축가의 자서전에 프롤로그에 한 일화가 소개된 것이 문득 떠오른다. 기억을 더듬으면 대충 이런 일화이다. 예전 독일의..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6. 06:19

[소고] 건축할 때 가장 경계해야할 것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22 https://rationalist.tistory.com/102 [노트] 건축에서 '디자인' 개념의 유입과 혼동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22 '건축을 말한다'라는 책을 보면 근대에 들어 건축가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새로운 용.. rationalist.tistory.com 이어서... 이러한 전체적인 연대기 속에서도 이탈리아 건축에서는 확연히 구분되는 점이 있다. 20세기를 넘어서 지금까지도 이탈리아 건축계나 학교에서는 '디자인'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 여전히 이..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5. 06:19

[노트] 건축에서 '디자인' 개념의 유입과 혼동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22 '건축을 말한다'라는 책을 보면 근대에 들어 건축가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새로운 용어와 기존 용어들에 대해 차분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 중에서 이목을 끄는 주제가 몇가지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디자인'이다. 이 책에서는 간단히 디자인이라는 용어에 대한 건축으로의 유입과 배경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데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 이어서...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5. 06:17

[노트] 건축 구성(배치)라는 개념에 대해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3.4 건축 구성/배치/구성(Composizione architettonica) 도시에 프로젝트를 하건 자연의 장소에 프로젝트를 하건 건축 구성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도시에 대한 이데아가 정립되고 그 이데아를 형태화 하는 과정을 가리켜 꼼포지찌오네 아르키떼뚜라(Composizione architettonica)라는 말을 쓴다. ​ 이 과정은 즐거우면서도 즐길 수 있는 과정이다. 또한 본인의 경험과 지식과 감각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부분과 전체의 관계'의 문제가 중요하며 이 과정에서 적합한 원리를 적용시키고, 원리들에 의해 구성된 볼륨관의 관계는 장소를 ..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1. 06:44

[소고] 건축에서 '암묵지' 개념에 대해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건축 공부와 건축가의 지식에 대해 중요한 개념을 적어본다. 암묵지(暗默知)라는 개념인데 암묵지가 무엇인지 오랜 블로그 이웃분께서 좋은 예로 설명해 놓은게 있어 그대로 옮겨온다.​ "말로 설명을 해도 체득하지 않으면 모르는 지식을 '암묵지'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이렇습니다. 간이 안좋은 사람이 황달끼가 있다고 합시다. 얼굴 빛이 남들보다 더 노란빛깔이 나는게 황달현상이라고는 하는데, 사실 제가 볼땐 그 피부가 그 피부색 같아서 쉽게 구별이 안됩니다. 그러나 간 전문의들은 수많은 환자들을 접했을 것이고, 그 미세한 노란빛의 차이를 파악하고 구별할 줄 알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말로 설명이 안..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4. 30. 06: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건축학 콘서트
건축학 콘서트 Designed by TK.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