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콘서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6)
    • 알고 보면 쉬운 건축학 (1)
      • 건축학 콘서트 (1)
    • 건축 속으로 (125)
      • 건축 이론 (39)
      • 광장의 구성원리 (9)
      • 미스와 꼬르뷔제 다시보기 (5)
      • 거장들의 작품 세계 (12)
      • 건축에 대한 소고 (21)
      • 포트폴리오 (25)
      • 건축 단상 (14)

검색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 [소고] 밀라노 중심에 들어선 어설픈 빌딩

    2020.05.13 by Andrea.

  • [건축 기사] 공감가는 "건축은 인간의 본능..'쉬운 건축학'"

    2020.05.12 by Andrea.

  • 건축공부가 행복한 이유

    2020.05.06 by Andrea.

  • 건축을 할때 절망적인 것

    2020.05.06 by Andrea.

  • Bernd Becher의 사진들 속 아름다운 형태들

    2020.04.20 by Andrea.

  • [사색] 유학와 건축공부를 하며

    2020.04.20 by Andrea.

  • '유기적', '건축적 유기체', '유기적 성장', '도시 조직' 같은 표현들에 대해

    2020.01.01 by Andrea.

  • 건축공부를 위해 평소에 익혀야 할 사고습관

    2019.12.31 by Andrea.

[소고] 밀라노 중심에 들어선 어설픈 빌딩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6.18 가끔 주말에 마트에 들릴 때면 보게되는 2개의 빌딩이 있다. 이 건물에 대해 오늘자 에이앤 뉴스에 포스팅된 것을 보았다. 공중정원의 현대판이랄까 주거 건물인 이 빌딩 곳곳에는 녹색 식물들이 보인다. 본인이 밀라노에 막 도착했을 때만해도 아직 싱그런 녹색은 없었던 검은색 평범한 빌딩이였는데 제법 녹색이 곳곳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이 프로젝트가 보여주는 건축의 청사진은 그야말로 대단한 것이였다. 숲을 자신이 사는 20층, 30층, 40층..에서도 만끽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였으니. 밀라노 보스코 베르티칼레(Bosco Verticale) 이 건물을 볼 때마다 참 아쉬움 마음을 감..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2020. 5. 13. 06:23

[건축 기사] 공감가는 "건축은 인간의 본능..'쉬운 건축학'"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6.9 건축가 김광현 교수의 기사가 한국경제신문에 실렸는데 기사의 일부분의 내용에 매우 공감하였다. 몇자 옮겨본다. [...] "건축은 거주자 입장에서 봐야…고담준론이 건축가들 고립시켜" [...] [...] 국내 건축학계 원로인사 중 한 명인 김광현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63·사진)는 지난 2일 서울 신림동 서울대 건축학과에 있는 그의 연구실에서 “한국 건축계의 담론은 1960년대 김중업과 김수근의 시대에 멈춰 버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미 해외에선 30여년 전부터 건축을 거주자, 사용자, 사회의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지만 한국에선 여전히 작가주의적 미학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2020. 5. 12. 06:26

건축공부가 행복한 이유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5.7 사람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면 못하는 것이 건축이다. 한국의 선생님도 그렇게 가르쳤고, 심지어 서양인 모네스티롤리도 그래서 젊은 건축가들은 가끔 실수를 하기도 한다고 한다. 나는 실수를 하고 싶지 않다. 누구나 그 정도의 소신은 갖고 살터. 많은 사람을 만나면 좋은 사람, 나쁜 사람이 있기 마련이고 어떻게든 사람에 대해 더욱 이해하게 된다. 건축을 좀더 잘 할 수 있게 되었을지 모른다. 그런데 한가지 사실을 깨달은 것이 있다. 사람이란 것을 이해하기 위해 꼭 사람을 만나야 하는 방법만 있는 것은 아니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을 떠난 이후 마치 입산이라도 한 듯 많은 사람을 만나기가 ..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2020. 5. 6. 05:46

건축을 할때 절망적인 것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5.6 영화 건축학개론 중 ​ ​ 대히트했던 영화 건축학 개론을 보면 재밌는 장면이 하나 있다. 여자 주인공이 오랜 첫사랑을 찾아 건축사무소에 방문하기 직전에 사무실에서 이루어지는 장면이다. 주연 엄태웅과 건축소장 사이의 짧은 대화인데 웃고 넘어갈 대화이지만 건축을 하는 사람에게는 사뭇 다르게 다가오는 장면이 있다. ​ 소장: "습~ 아~ 이거 이거 너무 날라가는거 아냐?" 엄태웅: "아 디자인을 예쁘게 해줘도 뭐라그래" 소장: "예쁘기만하면 땡이야?" 엄태웅: "아니~ 건축주들 이런거 좋아하잖아요~ 일단 머 저기, 디자인이 좀 날라가줘야 뭐 있나보다 할거 아냐..." ​ ​​한국의 ..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2020. 5. 6. 05:44

Bernd Becher의 사진들 속 아름다운 형태들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형태들. 다음 사진들은 Bernd Becher 라는 사진 작가가 찍은 사진들이다. 각 건축물들은 지극히 건축가의 이름 없는 건축물들이다. 그 형태들은 지어진 시점, 시대의 스타일, 건축가 이름, 미학적 논리 등 모두들 떨쳐버린, 각각은 일제히 '형태의 부족', '형태의 과함' 없는 적정 상태이다. 그래서 그것들은 아름답다. "우리의 눈은 빛 속에서 형태를 보기 위해 만들어졌다. 기본적 형태들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아름답다. 오늘날의 건축가는 이러한 단순한 형태들 더 이상 구현하지 않는다. 계산의 결과에 따라 작업하는 엔지니어는 기하학으로 우리으 눈을, 수학으로 우리의..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2020. 4. 20. 00:44

[사색] 유학와 건축공부를 하며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5.8.1 내가 건축을 거의 모르던 건축학과 입문 시기에 내가 본 미스의 건물들은 검은색 철에 유리를 끼운 단순한 형태를 반복한 건축이였다. 당시에 내가 알던 건축의 지식은 일반인과 차이가 없었고, 조형을 보는 눈 아니 지금은 형태를 보는 눈이라 표현해야 함을 안다. 형태를 보는 눈은 곧바로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외관의 독창성 정도에서 파악하는 수준이였다. 그 선에서밖에 판단할 줄 모른다는 것은 그래도 본 것들은 있었으니 독창적인지 아닌지는 판단했던거 아닌가?라고 보기도 어려울 정도로 거의 무지했다. 평범한 일반인의 조형 세계에 대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다고 남들과는 다른 뛰어난 조..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2020. 4. 20. 00:38

'유기적', '건축적 유기체', '유기적 성장', '도시 조직' 같은 표현들에 대해

2015.2.17 자연의 유기적 '원리방식'을 건축의 공간구성 원리로서 취하고 있는 '낙수장' 자연의 유기적 형태의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형태발생체의 원리로서 취하고 있는 KREOD(영국) 우리가 사는 요즘 세상은 건축이나 도시를 얘기할 때 "유기적", "건축적 유기체", "유기적 성장", "도시 조직" 등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건물"이라는 적합한 단어가 있음에도. 유기적이라는 단어는 생물학에서 유래한 것으로 심장, 대장 등의 기관의 형태는 순전히 기능에 의해, 기능을 위해 그러한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는 설에서 건축계에 유기적이라는 단어가 유입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알도 로시는 도시의 건축에서 이러한 용어들이 그들이 다루는 재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매..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2020. 1. 1. 02:13

건축공부를 위해 평소에 익혀야 할 사고습관

2015.2.16 건축가가 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습, 두 영역을 균형적으로 익혀야 한다. 바로 손으로 그려보고 지우고 다시 그려보는 실습을 통해 익혀야하는 공부가 실습과 다른 것은 인문학과생들이 공부하듯 책을 읽거나 토론 등을 통해 머리로 지식을 익히고 쌓는 것이다. 거기에 마지막으로 공부의 완성을 이루게 할 직관, 감각 혹은 영감이라 불리는 것을 갖는 것이다. 과학의 역사를 보면, 이 능력이 없으면 뉴턴이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배고프네 집에가서 사과 먹어야지' 밖에 생각치 못했을 것이다. 뉴턴의 영감 덕에 그는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자신의 과학적 지식과 경험을 아우르는 뇌의 모든 지식을 활용하는 단계로 나가간다. 메타학습이라고도 내가 관심을 갖는 것으로 이것이 핵심이다. 건축가가 되기위해 좋은..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2019. 12. 31. 06:4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건축학 콘서트
건축학 콘서트 Designed by TK.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