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콘서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6)
    • 알고 보면 쉬운 건축학 (1)
      • 건축학 콘서트 (1)
    • 건축 속으로 (125)
      • 건축 이론 (39)
      • 광장의 구성원리 (9)
      • 미스와 꼬르뷔제 다시보기 (5)
      • 거장들의 작품 세계 (12)
      • 건축에 대한 소고 (21)
      • 포트폴리오 (25)
      • 건축 단상 (14)

검색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2): 전반전을 마치며

    2020.05.13 by Andrea.

  •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1): 오늘날의 밀라노가 있기까지

    2020.05.13 by Andrea.

  • [졸업설계 후반전] 유학생의 조별작업

    2020.05.13 by Andrea.

  • [졸업설계 후반전] 수영장 설계를 위한 적합한 형태 찾기의 출발점과 변곡점들 비공개 └손으로 고민 / 건축을 향하여

    2020.05.06 by Andrea.

  • [건축 공모전] 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15: 우리의 어린이 도서관

    2020.05.05 by Andrea.

  • [건축 공모전] 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14: 역사 속의 도서관들

    2020.05.05 by Andrea.

  • [건축 공모전] 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13: 사리면 주니어 센터

    2020.05.05 by Andrea.

  • [건축 공모전] 사리면 Senior center_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12: 사리면 공원 최종형태

    2020.05.05 by Andrea.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2): 전반전을 마치며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7.11 우리에게 주어진 땅은 축구장 필드가 55개나 들어갈 수 있는 가로 750m, 세로 620m나 되는 매우 넓은 땅이였다. 아마 지금까지 본인이 건축학과 학생이 된 이래 해보는 가장 넓은 대상지이다. 나빌리오 운하 시스템은 밀라노의 형태와 아비아떼그라소라는 지방 도시를 연결하는 22km의 운하 시스템으로 가장 중요한 도시 영역이다. 지도를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이 운하 근처의 모든 도시 조직들은 그 질서들이 모두 운하를 따르고 있다. 그만큼 밀라노라는 도시를 설명하기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나빌리오 운하로부터 우리의 대상지까지는 2.2km의 큰 대로가 직선..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13. 06:52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1): 오늘날의 밀라노가 있기까지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7.8 졸업설계 후반전이 한창이지만 예전에 작성해두고 마무리 하지 못했던 졸업설계 전반전에 대한 기록을 남긴다. 블로그의 이 페이지에 내 손을 거쳐가며 해왔던 고민들의 궤적을 남겨보며 건축가로 성장하는 동안의 미니 기록장? 정도로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졸업 논문을 블로그 포스팅화하는게 한계가 있어 제할까도 생각했지만 20대 동안 내 손을 거쳐가며 해왔던 고민들의 궤적을 간단히 개요만이라도 남겨보고 싶은 마음에 사진으로나마 채워보기로 했다. 언젠가 간단히 블로그만 보아도 나의 건축가 지망생으로서의 초년에 가졌던 생각들을 간단히나마 얼추 추억을 더듬을 수 있길 바라며. 이 졸업설계는 ..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13. 06:47

[졸업설계 후반전] 유학생의 조별작업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6.15 프롤로그 건축을 하다보면 뛰어난 한명의 건축가에 의해 진행될 경우도 있지만 팀으로 진행될 때도 있다. 유학와서도 현재 하고 있는 논문설계도 팀작업이다. 건축만이 아니라 이탈리아에 패션이나 다른 전공으로 유학을 온 학생들도 조별로 하는 협업일 경우 마찬가지일 것이다. 모든지 그렇겠지만 남과의 작업에서는 조직력 혹은 팀웍이 좋아야 한다. 마치 하나의 축구팀 같은. 동전의 양면처럼 존재하는 두가지 현상, 조직력이 좋으면 일사천리로 일이 진행되기도 하지만 브레이크 거는 이가 없어 함께 탄 배가 좌초될 때가 있다. 10년 동안 공동작업에서의 조율과 타협에 대해 고민하고 씨름해왔지만 이..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13. 06:18

[졸업설계 후반전] 수영장 설계를 위한 적합한 형태 찾기의 출발점과 변곡점들 비공개 └손으로 고민 / 건축을 향하여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5.27 장소의 형태와 수영장의 형태, 그것의 간극 석사 논문은 전체 마스터 플랜에서 한개 이상의 공공건물을 정해 실제 건설을 제외한 그대로 건설 가능하도록 구조, 에너지, 디테일, 구조, 부동산 등 모든 면에서 문제없이 작동하는 상태로 프로젝트를 완성시키는 것을 요구했다. 마스터플랜의 각 볼륨들이 하나 하나 본인이 무슨 건물인지 찾아들어가고 있다. 주거건물 동, 호텔, 병원용 임대아파트, 소셜하우징. 공공건물로는 수영장, 도서관, 극장/영화관, 문화센터, 스파 및 욕장 건물, 대형 박람회 및 전시를 위한 건물 등 ​ 석사의 후반전이라고 할까. 마스터 플랜 이후 우리는 몇개의 건물을 ..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6. 06:14

[건축 공모전] 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15: 우리의 어린이 도서관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25 주최측이 요구한 주니어 센터는 어린이 도서관 내지 어린이 유치원과 비슷하게 볼 수 있었다. 어린이들이 책상에 앉아 학습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자연을 벗삼아 뛰어 놀건, 집과는 다른 또다른 공간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휴식이 이루어지고, 어린이 성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이 되는 곳. 현대의 도서관은 무엇인가? 라는 도서관 테마에 대한 고민은 본인이 학부시절 때부터 해오던 고민이였다. 언제나 그 고민은 도시와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고민으로 귀결되었다. 그 주제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주제로 좀더 세분화 될 경우는 우리의 생각은 더욱 확신하게 되곤 했다. 우리의 이데아를 사진이..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5. 06:22

[건축 공모전] 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14: 역사 속의 도서관들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19 '건축은 우리 이전에 존재한다' 는 이야기가 이탈리아에서 조르지오 그라시(G.Grassi)에 의해서 다시금 언명되는 사건이 놀라운 것은 그런 얘기가 나오게 된 이유가 특별하기 때문이다. 그때의 상황은 본인이 막 태어났을, 아니 태어나기 직전의 때로 거슬러 가야하지만 그때의 건축계 상황이 지금까지도 큰 차이는 없어 보인다. 건축학교에서는 더이상 건축이론을 가르치지 않는다. 본인이 학부시절 모교만 해도 그렇다. 저학년 때는 디자인을 가르치더니 3학년이 되어서 컨텍스트라는 말이 조금 들리긴 했지만 딱히 이론이다라고 할 것을 배우지 못했다. 오히려 친구들과 함께 잡지를 사다 이것 저..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5. 06:11

[건축 공모전] 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13: 사리면 주니어 센터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16 주니어 센터 프로젝트는 시니어 센터와는 다른 또다른 특별한 장소의 현실을 맞이하고 있었다. 주니어 센터 부지는 사리면 마을의 내부에 위치해 있었다면 주니어 센터는 마을의 외부에 위치해 있었다. 특히 다른 도시와 연결된 34번 국도에서 부터 사리면으로 들어오는 도로(모래재로)를 면하고 있었다. 국도에서 차를 타고 빠져 사리면으로 향하다보면 처음 만나는 마을의 얼굴과도 같은 위치였다. 특히 이 모래재로라는 도로를 따라서 대상지 옆으로는 경찰서, 맞은 편으로는 우체국이 위치해 있어 기존의 주니어 센터와 함께 공공건물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사진을 보면 경찰서는 건물 앞에 울타리 안..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5. 06:08

[건축 공모전] 사리면 Senior center_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12: 사리면 공원 최종형태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10 구체적인 디자인이 정해지고 나서 실제 배치도에서 공원 디자인을 함과 동시에 파빌리온(정자) 설계를 진행했다. 파빌리온은 최소한의 기둥과 지붕으로만 구성되어야 했다. 특히 이 파빌리온과 열주 시스템 사이의 거리와 치수들의 비례를 찾는게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큰 열주들과 작은 열주들의 높이와 서로간의 거리 비례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좋은 안이 나올 수도 있었고, 이상한 안이 나올 수도 있었다. 특히나 가장 이상적인 비례를 찾는 과정은 시간과의 싸움인데 우리는 거의 공모전 막판에 이르렀고 같이 진행 중인 주니어 센터라는 다른 산이 있어 신속하게 스케치와 한국에서의 캐드 상의 치..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5. 06: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건축학 콘서트
건축학 콘서트 Designed by TK.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