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콘서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6)
    • 알고 보면 쉬운 건축학 (1)
      • 건축학 콘서트 (1)
    • 건축 속으로 (125)
      • 건축 이론 (39)
      • 광장의 구성원리 (9)
      • 미스와 꼬르뷔제 다시보기 (5)
      • 거장들의 작품 세계 (12)
      • 건축에 대한 소고 (21)
      • 포트폴리오 (25)
      • 건축 단상 (14)

검색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건축가 인터뷰] 인터뷰를 마치며 -A.Monestiroli 인터뷰(9)

    2020.05.15 by Andrea.

  • [건축가 인터뷰] 벽돌이라는 재료에 애착을 갖는 이유 -A.Monestiroli 인터뷰(8)

    2020.05.15 by Andrea.

  • [건축가 인터뷰] 지난 프로젝트들을 바라보며 -A.Monestiroli 인터뷰(7)

    2020.05.15 by Andrea.

  • [건축가 인터뷰] 도시와 건축 대학의 역할 -A.Monestiroli 인터뷰(6)

    2020.05.15 by Andrea.

  • [광장의 구성원리] 6. 전원 속에 광장을 구성하는 방법: Réorganisation agraire, ferme et village radieux vs 법주사 (1)

    2020.05.14 by Andrea.

  •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2): 전반전을 마치며

    2020.05.13 by Andrea.

  •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1): 오늘날의 밀라노가 있기까지

    2020.05.13 by Andrea.

  • [소고] 밀라노 중심에 들어선 어설픈 빌딩

    2020.05.13 by Andrea.

[건축가 인터뷰] 인터뷰를 마치며 -A.Monestiroli 인터뷰(9)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0.14 - 회차 -​ ​[건축가 인터뷰] 공동체적 의무로서의 건축(L’architettura come compito civile)-----A.Monestiroli 인터뷰 (1) [건축가 인터뷰] 설계 이전의 문제와 프로젝트 방법-----A.Monestiroli 인터뷰 (2)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A.Monestiroli 인터뷰 (3)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2)-----A.Monestiroli 인터뷰 (4) [건축가 인터뷰] 건축 이론서의 종식-----A.Monestiroli 인터뷰 (5) [건축가 인터뷰] 도시와 건축 대학의 역할-----A.Mo..

건축 속으로/건축 이론 2020. 5. 15. 05:42

[건축가 인터뷰] 벽돌이라는 재료에 애착을 갖는 이유 -A.Monestiroli 인터뷰(8)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0.14 - 회차 -​ ​[건축가 인터뷰] 공동체적 의무로서의 건축(L’architettura come compito civile)-----A.Monestiroli 인터뷰 (1) [건축가 인터뷰] 설계 이전의 문제와 프로젝트 방법-----A.Monestiroli 인터뷰 (2)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A.Monestiroli 인터뷰 (3)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2)-----A.Monestiroli 인터뷰 (4) [건축가 인터뷰] 건축 이론서의 종식-----A.Monestiroli 인터뷰 (5) [건축가 인터뷰] 도시와 건축 대학의 역할-----A.Mo..

건축 속으로/건축 이론 2020. 5. 15. 05:40

[건축가 인터뷰] 지난 프로젝트들을 바라보며 -A.Monestiroli 인터뷰(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0.14 - 회차 -​ ​[건축가 인터뷰] 공동체적 의무로서의 건축(L’architettura come compito civile)-----A.Monestiroli 인터뷰 (1) [건축가 인터뷰] 설계 이전의 문제와 프로젝트 방법-----A.Monestiroli 인터뷰 (2)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A.Monestiroli 인터뷰 (3)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2)-----A.Monestiroli 인터뷰 (4) [건축가 인터뷰] 건축 이론서의 종식-----A.Monestiroli 인터뷰 (5) [건축가 인터뷰] 도시와 건축 대학의 역할-----A.Mo..

건축 속으로/건축 이론 2020. 5. 15. 05:38

[건축가 인터뷰] 도시와 건축 대학의 역할 -A.Monestiroli 인터뷰(6)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0.14 - 회차 -​ ​[건축가 인터뷰] 공동체적 의무로서의 건축(L’architettura come compito civile)-----A.Monestiroli 인터뷰 (1) [건축가 인터뷰] 설계 이전의 문제와 프로젝트 방법-----A.Monestiroli 인터뷰 (2)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A.Monestiroli 인터뷰 (3)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2)-----A.Monestiroli 인터뷰 (4) [건축가 인터뷰] 건축 이론서의 종식-----A.Monestiroli 인터뷰 (5) [건축가 인터뷰] 도시와 건축 대학의 역할-----A.Mo..

건축 속으로/건축 이론 2020. 5. 15. 05:37

[광장의 구성원리] 6. 전원 속에 광장을 구성하는 방법: Réorganisation agraire, ferme et village radieux vs 법주사 (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7.30 르꼬르뷔제의 농가, 빌라 복합 재생 프로젝트(Réorganisation agraire, ferme et village radieux), 1938년 1935년 가을, 르꼬르뷔제는 그의 15번째 책 urbanisme1에 대한 3번째 헌장을 발표했다. 도시 그리고 도시에서 영위되는 삶과 건축과의 관계를 규명한 이론서로는 당시에 카밀로 시떼가 쓴 '도시 건축 미학'이 1889년에 출판되어 도시와 건축에 대한 이론서로 자리를 매김하고 있었던 상황에서 당시에 도시연구가 힐버자이머라든가 발터 그로피우스 등이 새로운 도시 모델을 끊임없이 연구하며 청사진을 제시하며 기여를 하고 있던 상황이였..

건축 속으로/광장의 구성원리 2020. 5. 14. 06:40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2): 전반전을 마치며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7.11 우리에게 주어진 땅은 축구장 필드가 55개나 들어갈 수 있는 가로 750m, 세로 620m나 되는 매우 넓은 땅이였다. 아마 지금까지 본인이 건축학과 학생이 된 이래 해보는 가장 넓은 대상지이다. 나빌리오 운하 시스템은 밀라노의 형태와 아비아떼그라소라는 지방 도시를 연결하는 22km의 운하 시스템으로 가장 중요한 도시 영역이다. 지도를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이 운하 근처의 모든 도시 조직들은 그 질서들이 모두 운하를 따르고 있다. 그만큼 밀라노라는 도시를 설명하기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나빌리오 운하로부터 우리의 대상지까지는 2.2km의 큰 대로가 직선..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13. 06:52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1): 오늘날의 밀라노가 있기까지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7.8 졸업설계 후반전이 한창이지만 예전에 작성해두고 마무리 하지 못했던 졸업설계 전반전에 대한 기록을 남긴다. 블로그의 이 페이지에 내 손을 거쳐가며 해왔던 고민들의 궤적을 남겨보며 건축가로 성장하는 동안의 미니 기록장? 정도로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졸업 논문을 블로그 포스팅화하는게 한계가 있어 제할까도 생각했지만 20대 동안 내 손을 거쳐가며 해왔던 고민들의 궤적을 간단히 개요만이라도 남겨보고 싶은 마음에 사진으로나마 채워보기로 했다. 언젠가 간단히 블로그만 보아도 나의 건축가 지망생으로서의 초년에 가졌던 생각들을 간단히나마 얼추 추억을 더듬을 수 있길 바라며. 이 졸업설계는 ..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13. 06:47

[소고] 밀라노 중심에 들어선 어설픈 빌딩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6.18 가끔 주말에 마트에 들릴 때면 보게되는 2개의 빌딩이 있다. 이 건물에 대해 오늘자 에이앤 뉴스에 포스팅된 것을 보았다. 공중정원의 현대판이랄까 주거 건물인 이 빌딩 곳곳에는 녹색 식물들이 보인다. 본인이 밀라노에 막 도착했을 때만해도 아직 싱그런 녹색은 없었던 검은색 평범한 빌딩이였는데 제법 녹색이 곳곳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이 프로젝트가 보여주는 건축의 청사진은 그야말로 대단한 것이였다. 숲을 자신이 사는 20층, 30층, 40층..에서도 만끽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였으니. 밀라노 보스코 베르티칼레(Bosco Verticale) 이 건물을 볼 때마다 참 아쉬움 마음을 감..

건축 속으로/건축 단상 2020. 5. 13. 06:2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 16
다음
건축학 콘서트
건축학 콘서트 Designed by TK.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