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콘서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6)
    • 알고 보면 쉬운 건축학 (1)
      • 건축학 콘서트 (1)
    • 건축 속으로 (125)
      • 건축 이론 (39)
      • 광장의 구성원리 (9)
      • 미스와 꼬르뷔제 다시보기 (5)
      • 거장들의 작품 세계 (12)
      • 건축에 대한 소고 (21)
      • 포트폴리오 (25)
      • 건축 단상 (14)

검색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건축가 다시보기] 2.베네치아의 이루지 못한 건축가 3명의 꿈- Le Corbusier, Frank L. Wright

    2020.05.18 by Andrea.

  • [건축가 다시보기] 1.베네치아의 이루지 못한 건축가 3명의 꿈- Louis I. Kahn

    2020.05.18 by Andrea.

  • [노트] 회랑의 특별한 목적 하나 'il portico come elemento ordinatore'

    2020.05.17 by Andrea.

  • [강연] 밀라노공대 새학기에는 특강들의 축제, 새로운 이슈 '보비자 신캠퍼스'

    2020.05.17 by Andrea.

  • [소고] 개학 전 밀라노 외곽 Piotello에 방문 -수수께끼의 연속

    2020.05.17 by Andrea.

  • [광장의 구성원리] 7. 광장이거나 혹은 도시이거나: 프랑스 남부의 Aigues-Mortes vs 한국의 대전 시청 시가지

    2020.05.17 by Andrea.

  • [광장의 구성원리] 6. 전원 속에 광장을 구성하는 방법: Réorganisation agraire, ferme et village radieux vs 법주사 (2)

    2020.05.15 by Andrea.

  • [소고] 건설 시스템의 차이가 부른 공간의 질 차이

    2020.05.15 by Andrea.

[건축가 다시보기] 2.베네치아의 이루지 못한 건축가 3명의 꿈- Le Corbusier, Frank L. Wright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8.9.1 - 회차 -​ [건축가 다시보기] 1.베네치아의 이루지 못한 건축가 3명의 꿈- Louis I. Kahn [건축가 다시보기] 2.베네치아의 이루지 못한 건축가 3명의 꿈- Le Corbusier, Frank L. Wright 그 다음 프로젝트로는 르 꼬르뷔제의 수상 병원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건축가의 몇가지 디자인적 실수로 인해 망작?이라 뽑힘에도 건축가의 디자인 그 핵심에는 베네치아 도시 지역만의 특색을 살리려한 노력이 보인다. 이 병원은 하나의 건물이 아니라 여러 방들이 모여 베네치아의 도시 조직의 일부분에 최대한 자연스럽게 새로운 형태를 이식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

건축 속으로/미스와 꼬르뷔제 다시보기 2020. 5. 18. 04:43

[건축가 다시보기] 1.베네치아의 이루지 못한 건축가 3명의 꿈- Louis I. Kahn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8.9.1 - 회차 -​ [건축가 다시보기] 1.베네치아의 이루지 못한 건축가 3명의 꿈- Louis I. Kahn [건축가 다시보기] 2.베네치아의 이루지 못한 건축가 3명의 꿈- Le Corbusier, Frank L. Wright 오늘 포스팅에 소개하려는 3개의 프로젝트는 건축 역사를 대표하는 3명의 거장에 의해 설계되었지만 끝내 지어지지 못한 프로젝트들에 관한 것이다. 세 프로젝트 모두 베니스 섬에 지어질 것으로 의뢰되었지만 결국 현실화되지 못했고, 이 거장들을 대표작 리스트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계획안들로 남게 되었다. - 루이스 칸(Louis I. Kahn)의 베니스 국립 의사당..

건축 속으로/미스와 꼬르뷔제 다시보기 2020. 5. 18. 04:39

[노트] 회랑의 특별한 목적 하나 'il portico come elemento ordinator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7.5.29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조르지오 그라시(G.Grassi)가 자신의 대표작 키에티 학생 기숙사 프로젝트에서 입면의 회랑 채택 이유에 대한 근거를 프리드리히 웨인 브레너(F.Weinbrenner)의 회랑에서 찾기 때문인데 회랑의 목적 중 하나를 이해하여 적합한 곳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본인이 좋아하고 공부해오는 이탈리아의 그라시(G.Grassi)나 모네스티롤리(A.Monestiroli)의 건물에서 이런 열주가 반복 되는 회랑이 자주 등장한다. 그들 외에도 이탈리아 파시즘 시대의 합리주의 건축가들의 건물에서는 매번 빠지지 않고 채택되는 요소이다. 시대를 더 거슬러 올라 고대 건축..

건축 속으로/건축 이론 2020. 5. 17. 23:56

[강연] 밀라노공대 새학기에는 특강들의 축제, 새로운 이슈 '보비자 신캠퍼스'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1.18 학교에서 작업중 무언가 꿈틀거리는게 보였는데 작은 무당벌레 한마리. 너는 무얼 찾아 떠나는 중이니? 옆에 앉아있던 친구가 이탈리아에서는 무당벌레가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 작은 친구 이게 얼마만에 보는 살아있는 무당벌렌가... 이 작은 친구를 집어다가 창 밖 넓은 세상으로 던져주고. 밀라노공대는 10월 부터 시작된 새학기에 맞춰 곳곳의 코스에서 특강들이 계속해서 열리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합리주의 건축 혹은 이성적 건축 정도로 불리는 건축과 비슷한 성향의 건축을 주제로한 세미나들을 들으러 다녔다. 유럽의 합리주의/이성적 건축을 하는 건축가라는 말은 쉽게 말하면 디자인이 ..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17. 21:45

[소고] 개학 전 밀라노 외곽 Piotello에 방문 -수수께끼의 연속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08.29 여름방학의 끝자락 밀라노 외곽 Piotello으로 건축답사를 갔다. 햇수로 3번째 방문. 개학하면 본격적으로 10월 초에 있을 시험 대비에 전념해야 했기 때문에 어디 답사를 갈 수 있었던 마지막 찬스였다. 당시 우리조는 시험을 위해서 구조, 디테일, 설비 부분 평가는 주거 건물에 대해서만 작업하며 시험을 치르기로 한 상태였다. 이미 주거 건물에 대한 평면, 입면 설계는 1:200 스케일까지 거의 확정된 상태. 그 다음의 스케일로 들어가면서 설계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좀더 마이크로하게 계속해서 구조와 디테일 설계를 해야했다. 문제는 이런 부분에서도 역시 건축가의 통찰과 고민이 ..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17. 21:33

[광장의 구성원리] 7. 광장이거나 혹은 도시이거나: 프랑스 남부의 Aigues-Mortes vs 한국의 대전 시청 시가지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1.3 그리스의 아크로폴리스와 로마의 포룸이라는 두 유형의 광장을 시작으로 두 갈래로 살펴보고 있다. 오늘은 다시 시간을 훌쩍 뛰어돌아와 오늘과 가까운 시대에 건설된 도시와 건설은 중세에 이루어졌지만 현대에도 생생히 살아 기능하고 있는 현대적인 도시 하나를 살펴보자. 미리 말하자면 오늘 살펴볼 두 광장은 사실 엄밀히 말하면 우리가 광장! 했을 때 머리 속에 떠오르는 그런 텅빈 공터의 광장은 아니다. 그동안 간략하게나마 소개해왔던 광장의 원리들을 보면 결국 광장의 원리라는게 말 붙이기일 뿐, 광장의 구성 원리나 도시의 구성 원리나 작은 집의 구성 원리나 그 저변에 흐르는 어떤 공통 분..

건축 속으로/광장의 구성원리 2020. 5. 17. 21:13

[광장의 구성원리] 6. 전원 속에 광장을 구성하는 방법: Réorganisation agraire, ferme et village radieux vs 법주사 (2)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1.1 르꼬르뷔제의 농가, 빌라 복합 재생 프로젝트(Réorganisation agraire, ferme et village radieux, 1938년)에 이어 한국의 사찰들과 비교해보려 한다. 그 사찰은 속리산 산자락에 위치한 법주사이다. 법주사의 역사는 길고 복잡하다. 일반적인 역사적 배경은 제하고 건축 배치라는 테마에 국한해 간단히 소개해본다. https://rationalist.tistory.com/117 [광장의 구성원리] 6. 전원 속에 광장을 구성하는 방법: Réorganisation agraire, ferme et village radieux vs �� 이 저작물은 크..

건축 속으로/광장의 구성원리 2020. 5. 15. 06:29

[소고] 건설 시스템의 차이가 부른 공간의 질 차이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0.25 실제로 방문해 피부로 느끼던 두 공간의 차이에 대한 이야기이다. 실제로 가보지 못하더라도 두 사진을 보고 최대한 상상해볼 수 있겠다. 각 공간에 서 있을 때 어떤 차이가 느껴질까? 사진만 봐서는 상상이 잘 가지 않을지도. 이 두 성당의 지붕 유형은 다르다. 공간감은 확연하게 다르다. 본인도 실제로 방문했을 때 느꼈던 차이는 상당했다. 혹자는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은 천장 벽화도 없고 장식도 적지 않은가?라고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조금 부수적인 문제는 덮어두고 보다 더 본질적인 부분을 살펴보길 선행해보려고 한다. 성 안드레아 성당 프로젝트의 이상 알베르티가 설계한 만..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5. 15. 06:2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6
다음
건축학 콘서트
건축학 콘서트 Designed by TK.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