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콘서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6)
    • 알고 보면 쉬운 건축학 (1)
      • 건축학 콘서트 (1)
    • 건축 속으로 (125)
      • 건축 이론 (39)
      • 광장의 구성원리 (9)
      • 미스와 꼬르뷔제 다시보기 (5)
      • 거장들의 작품 세계 (12)
      • 건축에 대한 소고 (21)
      • 포트폴리오 (25)
      • 건축 단상 (14)

검색 레이어

건축학 콘서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탈리아 건축

  • [건축가 인터뷰] 벽돌이라는 재료에 애착을 갖는 이유 -A.Monestiroli 인터뷰(8)

    2020.05.15 by Andrea.

  • [건축가 인터뷰] 지난 프로젝트들을 바라보며 -A.Monestiroli 인터뷰(7)

    2020.05.15 by Andrea.

  •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2): 전반전을 마치며

    2020.05.13 by Andrea.

  •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1): 오늘날의 밀라노가 있기까지

    2020.05.13 by Andrea.

  • [졸업설계 후반전] 유학생의 조별작업

    2020.05.13 by Andrea.

  • [노트] 장소의 질(qualita' di luogo) 개념

    2020.01.14 by Andrea.

  • [짧은 노트] Monestiroli가 항상 하는 말 중...

    2019.12.01 by Andrea.

[건축가 인터뷰] 벽돌이라는 재료에 애착을 갖는 이유 -A.Monestiroli 인터뷰(8)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0.14 - 회차 -​ ​[건축가 인터뷰] 공동체적 의무로서의 건축(L’architettura come compito civile)-----A.Monestiroli 인터뷰 (1) [건축가 인터뷰] 설계 이전의 문제와 프로젝트 방법-----A.Monestiroli 인터뷰 (2)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A.Monestiroli 인터뷰 (3)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2)-----A.Monestiroli 인터뷰 (4) [건축가 인터뷰] 건축 이론서의 종식-----A.Monestiroli 인터뷰 (5) [건축가 인터뷰] 도시와 건축 대학의 역할-----A.Mo..

건축 속으로/건축 이론 2020. 5. 15. 05:40

[건축가 인터뷰] 지난 프로젝트들을 바라보며 -A.Monestiroli 인터뷰(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10.14 - 회차 -​ ​[건축가 인터뷰] 공동체적 의무로서의 건축(L’architettura come compito civile)-----A.Monestiroli 인터뷰 (1) [건축가 인터뷰] 설계 이전의 문제와 프로젝트 방법-----A.Monestiroli 인터뷰 (2)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A.Monestiroli 인터뷰 (3) ​[건축가 인터뷰] 모던한 건축이란(2)-----A.Monestiroli 인터뷰 (4) [건축가 인터뷰] 건축 이론서의 종식-----A.Monestiroli 인터뷰 (5) [건축가 인터뷰] 도시와 건축 대학의 역할-----A.Mo..

건축 속으로/건축 이론 2020. 5. 15. 05:38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2): 전반전을 마치며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7.11 우리에게 주어진 땅은 축구장 필드가 55개나 들어갈 수 있는 가로 750m, 세로 620m나 되는 매우 넓은 땅이였다. 아마 지금까지 본인이 건축학과 학생이 된 이래 해보는 가장 넓은 대상지이다. 나빌리오 운하 시스템은 밀라노의 형태와 아비아떼그라소라는 지방 도시를 연결하는 22km의 운하 시스템으로 가장 중요한 도시 영역이다. 지도를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이 운하 근처의 모든 도시 조직들은 그 질서들이 모두 운하를 따르고 있다. 그만큼 밀라노라는 도시를 설명하기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나빌리오 운하로부터 우리의 대상지까지는 2.2km의 큰 대로가 직선..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13. 06:52

[졸업설계 전반전] 밀라노 도시에 난 구멍에 바느질 하기 (1): 오늘날의 밀라노가 있기까지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7.8 졸업설계 후반전이 한창이지만 예전에 작성해두고 마무리 하지 못했던 졸업설계 전반전에 대한 기록을 남긴다. 블로그의 이 페이지에 내 손을 거쳐가며 해왔던 고민들의 궤적을 남겨보며 건축가로 성장하는 동안의 미니 기록장? 정도로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졸업 논문을 블로그 포스팅화하는게 한계가 있어 제할까도 생각했지만 20대 동안 내 손을 거쳐가며 해왔던 고민들의 궤적을 간단히 개요만이라도 남겨보고 싶은 마음에 사진으로나마 채워보기로 했다. 언젠가 간단히 블로그만 보아도 나의 건축가 지망생으로서의 초년에 가졌던 생각들을 간단히나마 얼추 추억을 더듬을 수 있길 바라며. 이 졸업설계는 ..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13. 06:47

[졸업설계 후반전] 유학생의 조별작업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6.15 프롤로그 건축을 하다보면 뛰어난 한명의 건축가에 의해 진행될 경우도 있지만 팀으로 진행될 때도 있다. 유학와서도 현재 하고 있는 논문설계도 팀작업이다. 건축만이 아니라 이탈리아에 패션이나 다른 전공으로 유학을 온 학생들도 조별로 하는 협업일 경우 마찬가지일 것이다. 모든지 그렇겠지만 남과의 작업에서는 조직력 혹은 팀웍이 좋아야 한다. 마치 하나의 축구팀 같은. 동전의 양면처럼 존재하는 두가지 현상, 조직력이 좋으면 일사천리로 일이 진행되기도 하지만 브레이크 거는 이가 없어 함께 탄 배가 좌초될 때가 있다. 10년 동안 공동작업에서의 조율과 타협에 대해 고민하고 씨름해왔지만 이..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13. 06:18

[노트] 장소의 질(qualita' di luogo) 개념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5.4.13 우리는 살면서 특정 장소나 거리 아니면 건물을 방문하며 '그 장소 참 맘에 들어, 다시 가고 싶다.' , '장소가 너무 좋아' 라는 말을 할 때가 있다. 무엇이 우리에게 그런 인상 내지 느낌을 주었을까? 우리는 흔히 유럽의 거리가 아름답다고들 한다. 다양한 장식, 페인트 색깔, 벽돌이나 나무 같은 재료 등이 우리를 그렇게 느끼게 하는 것일까? 이탈리아에서는 고대건축에서부터 현대도시를 말할 때 장소의 질(qualita' di luogo)이라는 개념을 언급한다. 장소의 질은 건축가의 프로젝트의 최종목표와 매우 관련이 깊다. 장소의 질은 그 장소를 형성하는 건축들의 질과 직접적으로..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20. 1. 14. 07:26

[짧은 노트] Monestiroli가 항상 하는 말 중...

A.M가 항상 하는 말 중... "..있어서 내 형태로 마무리가 되야되. 이제 그 장소가 내 형태 중심으로 다시 장소를 읽게 되는거야. 장소에 종속되는게 아냐. 장소는 시작하게끔 만들어 주는 필수적 요인이야. 그러나! 나는 새롭게 쓰는 거야." (이 부분에서 A.M와 G.G와 많이 차이가 나)

건축 속으로/건축에 대한 소고 2019. 12. 1. 02:2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건축학 콘서트
건축학 콘서트 Designed by TK.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