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5.3.29
계몽주의 건축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말리치아(Franceso Malizia)와 같은 건축관을 가진 경우.
즉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적 정의를 그대로 고수하는 경향.
다른 하나는 불레(Boullee)와 같은 건축관을 가진 경우.
즉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적 정의에 반박했던 경향.
"건축에서 의미의 문제는 그 이전까지 명백한 방법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건설의 예술에 대한 의미를 정의해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언제나 이것은 자연스러운 것이였다. 그것은 명확한 사실로 의문을 가질 필요가 없었다.
의미의 문제를 건축 정의의 근거로 제시한 것은 계몽주의가 역사적으로 유일한 시대이다."
-La metopa e il trilifo,p.18,A. Monestiroli.
이 부분에서 불레에 대한 건축 공부가 어떤 의의를 갖는지 우리는 알 수 있다.
[역사속 건축술 다시보기] 기술적 형태를 넘어 건축적 형태로: 벽감(niche, 壁龕) (0) | 2020.04.07 |
---|---|
[건축가 대담] 안토니오 모네스티롤리에게 묻는 33가지 질문-5,6,7번째 (0) | 2020.04.07 |
[수업] 불레의 건축 정의 (0) | 2020.01.09 |
[건축가 대담] 안토니오 모네스티롤리에게 묻는 33가지 질문-2,3,4번째 (0) | 2020.01.01 |
[건축가 대담] 안토니오 모네스티롤리에게 묻는 33가지 질문-1번째 (0) | 2019.12.3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