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업] 불레의 건축 정의

건축 속으로/건축 이론

by Andrea. 2020. 1. 9. 07:08

본문

2015.2.2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밀라노공대 제 설계반에서는 지정된 책을 읽고 토론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 도서로 불레의 ‘건축, 예술에 관한 시론 (Architettura Saggio sull'arte 이탈리아어판, 알도로시의 서문과 함께)’ 이였습니다.

 

불레(Étienne-Louis Boullée)

1728년 2월 12일 파리에서 태어난 프랑스 건축가이자 건축이론가 입니다.  브론델(Jacques-François Blondel)로부터 건축을 배우게 됩니다. 신고전주의라 일컬어지는 시기에 그의 작업들은 당대의 건축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작품들에서는 거대한 거석 건축과 거대한 계단 및 볼륨들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빛과 그림자의 극적인 표현과 상징적인 가치를 지닌 건축물들을 만들려는 노력에서 탄생했습니다. 불레는 한국 건축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압축 경제 성장 시기를 거치며 기틀이 마련되지 않은 국내 건축 현실 속에서 수세기 동안 발전해 온 유럽의 방대하고 이론들을 수용해 낼 역량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반면 유럽의 상황에서는 이탈리아, 프랑스 및 독일 건축의 뿌리를 형성하는데 큰 18세기 큰 줄기를 차지하는 불레 및 드루라는 대표 건축가들에 대한 공부와 고전 공부의 중요성은 더 강조되어 왔습니다.

 

그는 비록 현실화된 프로젝트는 없었지만 그의 스케치와 도면들은 건축의 세계를 정의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당시 유럽에서는 르네상스 시대의 인본주의에 뿌리를 둔 시민혁명의 태동기로 프랑스 국립 미술대학교 (Beaux-Arts) 또한 시대적 상황의 물결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였습니다. 당시의 건축가들은 ‘양식’을 만들어 내려는 의무감에 도취되어 절대왕정시기 바로크건축이 매너리즘 건축으로 변질되어가는 상황에 제동을 걸만한 자력을 잃어 갔습니다. 불레의 작업들은 점점 좌초되어가던 당대 격변의 상황 속에서 잉태된 자성적 의지를 가진 예술의 소산이었습니다.

 

그의 중요한 이 에세이에서 그는 건축을 예술로 보았습니다.

“[...] 건축작품의 개념은 그것의 실행에 선행한다. 우리의 옛 선조들은 이미지를 창조한 후에 오두막을 건설하였다. 

이러한 정신의 생산물이 건축으로 성립되는 것이며,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정신의 생산물이 모든 건물을 낳고

그 건물들을 완벽으로 이끄는 예술이라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

이 에세이 전체를 통틀어 그는 건축은 이러한 정신의 생산물을 표상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표상해야 할 대상은 ‘건물들의 성격(carattere)’입니다. 그래서 그의 스케치들에서 이러한 자신의 생각을 바탕으로 각 건물의 성격들을 구체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서관 내부 투시도

불레는 도서관의 책들은 그 자체가 인간들의 수천년 걸쳐 집대성된 지식의 총체를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도서관은 이 인간공동체의 소산물이자 유산이 놓여지는 공간이라 생각했습니다. 좀 더 그의 스케치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하나의 거대한 공간이 보입니다. 이러한 대공간을 바실리카라고 부르겠습니다. 그 속에는 계단형 서고가 있고 책들이 빽빽히 꽂혀 있습니다. 그리고 학자들은 자유롭게 책을 찾고 읽는 모습을 묘사했습니다.

 

도서관 종단면도

서고는 가로 300피트, 세로 90 피트 크기로 설계되었고 당시로는 유럽에서 가장 큰 서고로 계획되었습니다. 불레의 스승 브론델이 ’Cours’에서 ‘도서관은 높은 곳에서 조명이 비추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스튜디오에 유리한 그 빛은 공간을 집중시키고 균형있게 만들며 책장들을 연결시킬 면적을 넓게 가질 수 있게 한다.’라고 말했듯 천장 조명 설계를 했습니다.

 

도서관 평면도

불레는 책들을 계단의 챌판에 해당하는 부분과 열주들 뒤에 놓으며 ‘이 거대한 원형극장의 관람석(계단형 서고를 말함)형태는 사람들이 다양한 레벨들에 위치하고  손에서 손으로 책을 주고 받기 용이한 모습을 쉽게 떠올리도록 합니다. 그리하여 -어떠한 규모로 사용하냐에 따른 위험의 두려움은 있지만- 어떠한 요구에도 이동없이 기민하게 기능/서비스가 작동되게 한다’고 말했습니다. 내부투시도를 보면 로마시대 토가(로마시대 몸 위에 걸치던 의복)를 걸친 독서하는 사람들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런 디테일 함에서 불레는 그의 영감을 드러나게 하도록 했습니다. ‘나는 라파엘로의 작품 아테네 학당의 대단한 개념(건셉)을 보고 깊은 감동을 받았다. 그리고 그것을 현실화하려고 하였다.’고 말했습니다. 그의 이 모티브는 여러 관점하에 흥미롭게 보입니다.

 

도서관 횡단면도

그는 우주를 뜻하는 하나의 거대 볼트 아래에 인간의 지식의 총체를 모아두었습니다. 단면도를 통해 바실리카가 대공간을 만드는 원리와 대공간 안에서 계단형 서고가 형태적으로 도서관의 성격을 표상하는 원리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의 구조를 담당하는 지붕이 있고 서고 공간의 지붕은 볼트 형태로 따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점은 어째서 불레는 이 또 하나의 지붕을 두었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볼트지붕은 온전히 서고만을 덮고 있습니다. 볼트는 서고의 열주들 위 엔타블레춰가 끝나는 부분부터 시작됩니다. 코퍼(coffer)들이 있는 이 거대 볼트는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이 볼트 지붕과 서고 위 열주들을 통해 이 곳이 단일한 공간으로 보이도록 한 점과 바실리카의 장소를 표상하는 것입니다.

불레는 건축이란 그 장소의 성격을 표상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장소가 도서관이라는 테마와 함께 집단 공동체을 위한 ‘집단적 장소’의 성격을 표상하려 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도서관 프로젝트는 이 점에서 의미를 갖습니다. 그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 건축가들에게 도서관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제시해 준 것과 같은 가치를 갖습니다. 

 

불레의 ‘건축, 예술에 관한 시론 (Architettura Saggio sull'arte)을 탐독하며 그의 작업의 중요한 가치를 재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더군요. 로시가 이탈리아  합리주의 건축에 기여한 점 가운데 불레의 연구가 시사하는 점의 중요성에 놀랐습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아직도 그의 책이 소개된 적이 없다는 사실에 한번 더 깜짝놀랐습니다. 이번 유학 생활에서의 이번 공부를 통해 불레의 건축이 지금까지 건축역사에서 영향을 미친 중요한 점과 앞으로의 건축의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큰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너무나도 깨달았습니다. 그런 점에서 불레의 책이 한국에는 원어로도 구하기 쉽지 않다는 점은 참으로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언젠가 기회가 주어진다면 온라인상에서나마 미흡한 한국어 직역으로라도더라도 이 책을 소개해 나가고 싶네요.

 

https://rationalist.tistory.com/24

 

[설계수업] Casa ideale sull'isola Monte 프로젝트

2014.12.18 2년 장도의 시작은 각 학생들의 각자 해왔던 지난 작품들을 발표 및 소개. 나 또한 한국에서 고민해왔던 프로젝트 2개를 소개하였다. 이후 주어진 과제는 이탈리아 북부의 isola Monte 라는 호수의 섬..

rationalist.tistory.com

제 설계반에서는 불레를 공부하며 건축이 무엇인지에 대한 첫 발걸음을 떼며, 지난 수업 때 진행했던 호수가의 빌라 설계 프로젝트를 다시 한번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저희는 집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서 집이란 무엇을 표상하는 건축인가?라는 좀 더 구체적인 질문으로 나아갔습니다.

 

이 와중에 교수님께서 제 설계안의 중대한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첫 단계에서 정리해 보았던 집이란 ‘가족 공동체의 집단적 장소와 개인적 장소의 관계’라는 제 이데아가 정작 프로젝트에서는 잘못 설정되었다는 것이였습니다. 집단적 장소가 되는 공간들과 개인적 장소가 되는 공간들이 건물 형태와 전혀 따로 배치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건물의 형태는 장소의 문제로 인해 장소를 동서 두 장소로 갈라 놓고 있지만 내부의 내용을 보면 1층과 2층으로 집단적 장소와 개인적 장소가 배치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릇과 속 내용이 전혀 반대로 놀고 있는 큰 문제점이였습니다. 제가 세운 이데아와 결과물이 일치하지 않는다 점을 지적한 것이지요. 그래서 다시 이 설계를 고민하고 보완시킬 과제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