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건축 공모전] 사리면 Senior center_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3: 도시분석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by Andrea. 2020. 4. 20. 01:01

본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시분석과 장소의 연구"

건축은 그것이 들어서는 장소를 건설하는 것이다. 어느 건축이나 그것이 들어서는 장소와 매우 밀접하고 필연적인 관계를 가진다. 건축물의 형태는 장소로부터 기인하며 장소의 형태를 완성시킨다. 그래서 설계는 장소의 연구로 시작하여 장소의 완성으로 귀결되는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는 작업이다.

 

설계가 왈료된 최종 결과의 형태는 철저한 분석을 동반할 때 합리성 혹은 정당성, 적합성을 더욱 포괄하게 된다. 의사들이 정확한 진단과 검사가 있어야 그에 적합한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논리이다.

 

도시 분석은 분류를 하자면 도시의 형태학, 건축의 유형학, 도시 기술학 그리고 도시 역사학으로 나뉜다.

우선 도시 형태학(영:figure ground map, 독: schwarzplan)은 채워진 공간, 비워진 공간, 주요 도로망 지도, 도시 지형학 지도를 통해 기존 도시와 자연과의 관계, 도시 공간 구조 등을 규명하게 된다.

 

건축 유형학은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건축물, 잠재적인 건축물 그리고 고립되어 있거나 산재되어 있는 건축물 등으로 구분하여 도시를 구성하는 각 건축물들의 성격과 특징들을 규명하는 과정이다.

 

도시 기술학은 말 그대로 도시의 기술적 요소들의 특징과 역할 등을 규명하는데 도로망을 분석하고, 광장이나 교차로 같은 도시의 결절점 분석, 다리나 육교 등의 기술적 역할 등을 다룬다.

 

도시 역사학은 고지도부터 시작하여 연대별로 도시의 변화상을 살펴봄으로써 각 도시 구성물들과 형태들이 시간을 가지고 어떤 변화의 귀추를 보이는지, 현재의 모습을 가지게 된 원인은 무엇 때문이였는지 등을 살펴보는 것이다.

"오천단위 스케일에서"

 

채워진 공간

-소규모 건물들의 군집과 대규모 건물의 군집 형태 분석

-소규모 건물들의 산재되 있는 형태 분석

-독립군들과 비독립군들, 서로의 형태적 관계

-각 군집들이 서로가 만드는 채워진 공간 형태

-사담리의 형태적 경계를 이루는 건축물들

-각 군집들의 밀도

...etc

비워진 공간

-소규모 건물들의 군집 형태와 몇개의 대형 건물이 만들어내는 비워진 공간

-각 군집들이 서로가 만드는 비워진 공간 형태

-건물들의 군집 외의 비워진 거대 공간들간의 관계

...etc

지형학

-서쪽에서 동쪽으로 두타산, 백마산, 보광산으로 이어지는 산으로 둘러싸인 지대

-각 지대들의 지리학적 관계

-땅의 형상 및 각 지대들의 높낮이 차와 수직적 공간들의 형태

-저수지들, 물줄기, 논밭의 형태들과 그들이 도시 혹은 건축군들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etc

도시기술학

-34번 국도의 기술학적 영향 범위, 연결 도시, 인접 도시

-모래제로와 34번 국도의 연결

-단지 주변 도로들의 기술학적 영향범위 및 연결 상황, 이용률

-형태적 가치와 기술적 요소 사이의 각 도로들의 편차 분석 

-기술적 능력이 퇴화 중인 도로

-새로운 기술적 요소의 가능성

...etc

종합 맵

"천단위 스케일에서"

지형학

-사이트를 관통하는 하천의 범위

-저수지의 형태

-보광산 줄기 끝자락

-논밭의 형태와 가치

-형태적 가치를 지닌 자연 요소들 분석과 판별

-경관의 분석, 형태화된 경관들, 경관들의 형태화 가능성 분석

...etc 

 

도시기술학

-사이트 내 순환도로와 다른 도시로 연결된 도로

-각 도로들의 기술적 역할 분석

-통행량과 도시와의 관계

-도로들과 자연요소와의 상관관계

-도로들과 건축물들관의 상관관계

...etc

 

채워진 공간

-하천 위 북쪽 도시조직의 형태적 특징

-하천 아래 도시조직의 형태적 특징

-장소들의 건축적 형태로서의 가치 분석

-건물군으로서 도시의 형태에 참여하는 부분과 건축물들이 독립적으로 도시의 형태에 참여하는 부분

...etc

비워진 공간

-비워진 공간들의 형태

-비워진 공간들의 함께해서 만드는 거대공간들 존재 여부

-저수지가 위치한 곳의 큰 빈공간이 주변 빈공간과 갖는 관계

...etc

종합 맵

"백단위 스케일에서"

채워진 공간

-사이트의 현실, 현재의 형태적 상황

-건물들간의 형태적 관계

-건물의 유형학적 가치 분석과 판단

-건물들의 형태와 기술적 요소, 자연 요소, 비워진 공간 형태들과의 관계

...etc

비워진 공간

"현실에 순응할 것인가, 현실을 극복할 것인가"

-하천변 건축들이 하천과의 관계가 비교적 약함

-그래서 ㄱ,ㄴ도시조직은 ㄷ도로의 형태를 통해 하나의 도시 형태가 달성됨

-ㄷ도로, 모래재로, 하천이 규정하는 ㄴ블럭은 한국 전통도시의 특징이 많이 남아 있음

-그리하여 담과 도로의 관계가 중요하나 그들의 관계가 면밀하지 못하고 빈공간이 많음

-각 빈공간, 마당들을 녹지로 해석 가능성

-그러한 현실 속 중앙지점에 위치한 사이트A

-잠재적인 건물로서의 구 농협창고

-사이트A를 관통하는 소로길의 형태적 가지에 대한 의문

-ㄴ블럭을 하나의 넓은 판으로 규정 가능한지

-사이트A가 ㄴ블럭의 핵과 같은 공간으로서의 가능성

-ㄴ형태의 완성을 첫번째 목표로 둘 것인지, 아니면 사이트 자체 장소의 완성만에 집중할 것인지

...etc

 

스카이프를 이용하여 한국시간과 이탈리아

시간차로 인해 서로가 작업시간을 양보해가며 진행해 나갔다.

 

각 스케일에서 볼 수 있는 사항들과 파악해야할 사항들이 다양하여 줄다리기

논의를 거듭하며 하나 하나 분석해 나갔다. 각 단계에서 이미 규정된 사항들은 며칠이 지나

의심이 들어 번복되는 상황도 있었고, 확신할 수 있는 분석 결과들도 있었다.

 

특히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실에 순응할 것인지, 현실을 극복할 대상으로 판단할 것인지에

대한 실마리를 찾는 과정은 계속 되풀이되며 결단을 내리다가도 다시 의심을 가져보길 반복.

남은 기간의 반 이상을 이 분석에 할애했다. 이런 장소에 대한 고민은 테마의 문제와도

함께 진행되었고 과정에서 여러 레퍼런스들을 찾아 공부해 나갈 수 있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