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복원 설계 수업] Consonno Observatory 프로젝트 마무리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by Andrea. 2020. 4. 20. 00:28

본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5.7.30

 

이탈리아는 우리가 잘 알다시피 각 도시들이 그 자체가 박물관이자 유적지들의 집합체이다. 이름없는 건축가가 지었을 중세의 집도 뜯고 고치고 다시 칠하고 해서 현대에도 누군가가 살고 있다.

 

그러다보니 기존 낙후된 건물을 기술적부분이나 구조적인 문제를 진단하고 보강작업을 하는 복원학 분야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 그러다보니 복원학에 대한 이론 분야도 잘 정리되어 있다.

 

복원을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이탈리아에서 공부하면 전문적으로 복원학을 전공 할 수 있다.

 

이곳에는 설계 수업이 1년 혹은 2년간 진행된다. 이번 년도 설계 프로젝트 중 하나 였던 복원설계 시험이 끝났을 때가 가장 기억에 남을 것이다유학 중 가장 어려웠던 설계 수업이였던 것 같다. 험난했고 이탈리아 친구들 없이는 마치지 못 했을 과목이였다. 

 

예를들어 건축 측량이라는 수업을 먼저 수강해야 따라갈 수 있는 설계수업이였다. 한국에서는 광파기라고 부르는 걸로 안다. 그 시작은 데오돌라이트라는 기계 사용 설명서 해석부터 였는데 그것을 보고 깜깜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원어민 학생들에게는 이런 부분이 어려움 보다는 오히려 흥미를 가질 수 있지만 외국인 학생들에게는 언어적 한계로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이탈리아 친구들이 하루면 읽고 바로 실습에 들어갈 수 있는 반면 외국인에게는 며칠을 씨름해야 가까스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시간들이 지나고 이탈리아 북부 레꼬 호수 근처에 위치한 Consonno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었다.

 

프로젝트 테마는 관측소.
 

간략한 지정학적 자료 패널

 

consonno 보존 형황 및 진단 과정 패널

 

측량 결과 및 3d 시뮬레이션 패널

 

보존 상황의 재료, 구조적 현황 조사 패널, 보존할 부분과 제거할 부분 진단 패널

 

증개축 프로젝트 배치도

 

프로젝트 평면, 입면

 

각 증개축 부분 논리와 구조 디테일
증개축 전
증개축 전
증개축 후
증개축 후
증개축 후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