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4.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세그라떼(Segrate,Milano,1972)유치원 계획안
유치원 테마는 형태에 대한 특별한 교리가 없다는 점에서 심플해 보인다. 그래서 그것의 성격(carattere)을 설정할 일반의 선택이 필수이다. 장소를 규정할 요소로서 담으로 둘러쌓기(recinto)를 설정하는 문제가 우선적이였다.
전체 영역의 한 부분이 이 담 내에서 지붕으로 덮혀있고 닫혀있는-공동 교실 부분- 모습을 가진다. 그것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열린 공간이 되고 정원이 된다. 이 두 영역의 경계에는 열주 라인들에 의해 나뉜다. 이 열주들은 지붕을 지탱하며, 연속적인 커튼월로 면이 구성된다. 이 지붕은 열주들과 담벽에 의해 공동 교실들과의 연속성을 가지며 떠받쳐지게 된다. 그 공간은 덮혀는 있지만 외부로는 열린 공간이 된다.
즉, 유치원으로 표상되어지는 장소는 정원이다. 이 둘러쌓여진 정원은 마주하는 공동 교실들과의 상호관계를 이룬다.
모든 나머지 부분은 2차적인 문제이다.
공동 교실 파트는 건물의 뒤쪽의 일열로 된 서비스 공간들과 바로 맞닿아 있다. 이 뒤쪽의 작은 뜰 역시 담(recinto)으로 둘러쌓여 마무리된다. 이 뜰에는 건물의 유일한 입구가 있다.
이 유치원은 도시에서 한 공원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데 유치원의 담벽이 이 유치원의 정원이라는 장소가 공원으로부터 구분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담벽에는 큰 개구부들이 열림으로서 이 장소가 공원이라는 또다른 장소와 관계를 갖게한다.
재료로는 다음과 같은 재료가 예상되었었다. 담벽은 치장벽돌로 마감이되고, 기둥들은 철근콘크리트이고 지붕판과 함께 흰색으로 칠해진다. 그리고 정원의 중앙에는 매우 큰 나무 한그루가 놓여진다.
Antonio Monestiroli
opere, progetti, studi di architettura.,Electa,p18-21
https://rationalist.tistory.com/35
[Monestiroli] 세그라떼(Segrate,Milano,1972) 유치원 (1): 건축의 'what'과 'how'의 관계 문제
2015.3.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해온 작품 전체들을 돌이켜보면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
rationalist.tistory.com
[Monestiroli] 우디네 극장 현상설계안(Udine,1974)에 대한 회고 (0) | 2020.04.08 |
---|---|
[Monestiroli] 우디네 극장 현상설계안(Udine,1974): 아름다운 극장을 향해 (0) | 2020.04.08 |
세그라떼(Segrate)유치원 계획안 해제: 세그라떼 유치원 VS 후지 유치원 (0) | 2020.01.14 |
[Monestiroli] 세그라떼(Segrate,Milano,1972) 유치원 (1): 건축의 'what'과 'how'의 관계 문제 (0) | 2020.01.11 |
거장들의 작품 세계로의 초대: 계획안들이 갖는 의미 (0) | 2020.01.0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