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광장의 구성원리] 5. 새로운 유형의 광장: 일리노이 공과대학 vs 헬레라우 학교 (2)

건축 속으로/광장의 구성원리

by Andrea. 2020. 5. 5. 05:58

본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4

 

미국으로 건너와 시카고에서 본격적인 그의 미국에서의 커리어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IIT 캠퍼스 안은 그의 커리어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안을 시작으로 전통적인 둘러치기(recinto)원리(로마의 Foro광장 구성원리)에 변형을 시도한 매우 실험적인 안이였다.

 

현대의 대학 캠퍼스를 떠올려 본다면 이미 보편적인 캠퍼스 유형으로 자리 잡았지만 당시로서는 전통적인 학교의 캠퍼스 유형에서 탈피한 매우 혁신적인 캠퍼스 안이였다.

 

이번에는 IIT캠퍼스와는 다른 하인리히 테세노우(Heinrich Tessenow)의 헬레라우 무용 학교(Dalcroze Institute, 1911-1912, Hellerau)를 살펴보자.

 

학교 외관

 

전경

테세노우는 목공이였던 아버지 및에서 이론 보다 실무적인 부분을 먼저 터득하며 건축가로 성장한다. 당시 독일은 바이마르공화국 시기였는데 실험적 성격이 강했던 당시의 브루노 타우트(Bruno Taut,1880-1938)와는 반대로 테세노우는 건축학교에서 조수와 교수일을 하며 헤르만 무테시우스(Hermann Muthesius, 1861-1927)를 비롯해 전통적인 방식의 장인적 정신을 바탕으로한 건축작업을 해나갔다. 건축가 소개를 간단히 마치고 헬레라우 학교의 광장의 구성 원리를 살펴보도록 하자.

학교 정면 및 광장에서 체육활동이 이루어지는 모습

테세노우의 이 학교는 독일의 드레스덴(Dresden)이라는 도시에 1910~11년에 지어졌다. 이 드레스덴이라는 도시는 영국의 전원도시의 영향을 받아 헬레라우의 전원도시의 정신을 이어 계획되었다.(건축사에서 영국의 전원도시를 비롯해 새로운 도시 유형을 자연과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면서 찾으려 했던 연구들이 있었는데 이 당시의 도시에 대한 연구들을 공부해 보는 것만으로도 재밌고 오늘날 우리의, 현대의 도시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영역이다)

 

새로운 삶의 스타일을 자연과의 조화에서 발견하려는 영향 아래, 리듬운동 및 체조를 위한 커다란 체육관과 극장, 아우디토리움을 포함해야하는 계획으로 이 학교는 리듬체조의 창시자인 달크로즈(Dalcroze)재단의 후원으로 착수되었다.

 

조감도

이 학교 캠퍼스의 중심 공간은 완전히 닫힌 공간의 광장을 갖는 일찍이 미국 건축가 토마슨 제퍼슨(Thomas Jefferson)이 설계한 버지니아 대학교(The University of Virginia)의 전통적인 학교 유형을 따른다. 그 학교의 중심공간의 광장은 분명하게 로마의 포로(Foro)의 광장 구성 원리를 따른다.

버지니아 대학교, 토마스 제퍼슨, 1891

캠퍼스 전체 평면은 남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따른다. 좌우대칭을 고수한 이유는 테세노우의 건축에서 그의 장인적 작업의 근간을 이루는 하나의 중요한 질서 개념이였다. 이 중심축은 넓은 중앙 안뜰(학교의 중심광장)을 가로질러 존재한다. 본관을 기준으로 앞의 큰 정원을 가지고 반대쪽으로는 닫힌 광장을 갖는다. 이 축은 학교 본관 건물에 의해 강조된다. 이렇게 집단적 기능을 포함하는 건물을 축의 중심에 놓고 그 주변으로 기숙사 방들과 손님들을 위한 숙소들이 배치되어 있다.

전체 배치 및 악소노메트릭 

 

광장에서 바라본 본관 1

 

광장에서 바라본 본관 2

전체 배치도를 보면 중앙의 건물을 기준으로 본관 건물 규모의 정확히 2배가 되는 비율의 직육면체의 광장을 두었다. 이러한 비례 속에 그 광장에서 각 집들(기숙사와 손님 숙소들)에 비해 집단적 기능을 담당하는 공공건물인 본관은 매우 두드러져 있다. 이 광장을 구성하는 원리는 사실 단순하기 보다 풍요롭다.

 

프로젝트 내에서 본관이 놓이는 지정학적 위치 그리고 그 본관의 규모, 또한 본관 볼륨의 크기와 광장의 면적과의 비례 관계, 회랑과 부속 건물들의 규모 관계 등 이 모든 체계들이 부분과 전체의 관계 속에 설정되었다.

광장의 비례

이 프로젝트에서 우리가 인식하는 부분과 전체의 관계만큼 그것과 관련한 중요한 요소가 하나 있는데 회랑이다. 이 주변 볼륨들은 긴 회랑 구조로 한데 엮이고 있다. 이 회랑과 곳곳의 파고라는 이 광장을 감싸며, 그것이 놓임으로서 그 곳이 집단적인 장소이자, 이프로젝트가 자연과의 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가지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구조가 된다.

그 형태는 매우 명확하고 풍부한 명료함을 가지고 있다. 각 열주들은 매우 얇은 최소한의 치수로 설계되었다. 이는 테세노우의 저서들에서 그가 언급하는 풍부하면서도 간단 명료함에 대한 적용이였다.

 

드레스덴에는 이 학교와 함께 그 근처에 또다른 그의 학교(Sächsische Landesschule )가 설계되었는데 같은 원리 하에 다른 비율과 치수를 가지고 또다른 광장을 탄생시킨 그의 두 프로젝트를 비교하며 또다른 공부가 될 수 있다.

 

Sächsische Landesschule 전경 ,1925-27

 

Sächsische Landesschule 안뜰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