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는 특수한 장치가 없는 단순한 조직체이다. 3개의 분명하고 학교생활만의 고유한 장소들로 형성된다. 일반 수업 교실, 비교과 활동을 위한 교실, 전체활동을 위한 공동교실로 이루어진다. 유형을 정의하는 과정에서의 핵심 문제는 분명한 전체 형태의 개체성을 명확히 하며 이 3개의 장소들이 어떤 위계체계로 구성될 것이냐 하는 것이였다. 그 과정은 길고 복잡했다. 시간이 많이 걸리면서도 우리는 몇번을 이 프로젝트 다시 시작하곤 했다. 같은 문제에 대한 여러가지 다양한 해결책들을 나열했다. 그 문제는 건물의 건축적 하나의 형태를 고수하며 어떻게 교실들과 자연을 향해 열린 거대한 공동 홀 사이에 관계를 설정할 것인가 하는 것이였다.
최종적 스케치는 이 테마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H자 형태이다. 중심에는 거대한 홀의 공동 교실이 놓이고 2층과 3층은 일반 수업 교실들과 비교과 활동을 위한 교실들이 배치되는데 그들 사이는 내부 계단을 통해 연결된다. 지상층에는 특별 활동 교실들과 행정실, 서비스실들이 배치되었다.
이 건물의 각 몸체들은 모두 두 배로 큰 창들을 북쪽과 남쪽으로 갖는다. 반면 교실들은 특별한 입면을 갖는다.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며 모든 교실은 H형태의 두 팔 내부의 중정을 향해 완전히 유리로 된 면을 갖는다. 공동 교실은 직접적으로 두개의 수직의 전창을 통해 이 중정을 면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공동 교실 영역은 주변을 싼 중정의 자연 공간과 관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학교 전체의 형태를 인식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한다.
의도적으로 긴 단일한 입면을 가진 부분들의 구분은 채워지고 비워진 차이를 드러내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4개의 탑(4개는 엘리베이터 코어 하나는 굴뚝)을 두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이 4개의 탑들은 건물 내부 공간의 내용의 나누어지는 부분을 강조하며 외부로 드러낸다.
건물은 치장벽돌이 쓰이고 탑들은 철근콘크리트가 쓰이고 흰색으로 칠해진다. 가정된 유형은 하나의 유일한 중심 홀에 매번 각기 다양한 집단적 활동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작은 파티, 실내체육, 단체놀이, 공연, 회의, 모임, 음악 등의 집단적 활동들을 말한다. 좀더 개별적인 나누어 기능하는 교실들이 이 홀의 형태로 귀합되는 유형이다. 이 건물유형을 중앙집중형이라 부른다. 하나의 단일한 공간으로 이루어진 형태 안에 건축을 통해 건물의 성격(carattere)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하였다.
[Monestiroli] 갈리아테의 양로원 설계(Novara,1982) (0) | 2020.04.30 |
---|---|
[Monestiroli] 안코나의 광장 및 도시 조정 현상설계안(Ancona,1978) (0) | 2020.04.28 |
[소고] 기능이 수용 가능한 형태, 형태가 수용 가능한 기능_꼬르뷔제 vs Luigi Carlo Daneri (0) | 2020.04.19 |
[건축가 소개] 공부해도 후회 안 할 건축가 추천: Antonio Monestiroli (0) | 2020.04.08 |
[Monestiroli] 우디네 극장 현상설계안(Udine,1974)에 대한 회고 (0) | 2020.04.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