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7.26
언젠가 선생님께서
"왜 기둥에 철골을 썼지..나였으면 이렇게 안했을거야.."
테토닉에 대해 잘 모르지만
벽돌은 사람의 손기술에 의해 그 쌓기에 정수가 있다.
철골은 '공장에서 생산' 된 부품을 가져와 조립한다.
...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그 땅위에 양생되어 그것으로 존재한다.
아스플룬드의 파빌리온처럼 그 장소에서 양생되어
한시점에 탄생되어 대지에 서있는 파빌리온과의 차이는?
이러한 건설체계 속 재료의 선택은 디자인의 영역인가?
철 형강을 썼기 때문에 땅에 '박아야' 만 했고
그로인해 가장 바깥 기둥은 내부 기둥과 달리 표면에 노출되버리는 아쉬운 점.
걸작의 아쉬운 점을 찾고 배우고 성장하기!
[짧은 노트] 공간을 정의하는 특수한 방법 - 기둥 숲 (0) | 2019.09.23 |
---|---|
[발췌] 진정한 시민사회의 참여를 이끌어 낼수 있는 도시 구조, 그리스의 아고라 - 루이스 칸 (0) | 2019.09.23 |
[짧은 노트] 광장의 오벨리스크 배치_한양대 호수광장 (0) | 2019.09.23 |
[짧은 노트] '테마의 증개축' 또한 건축가의 과제 (0) | 2019.09.23 |
[짧은 노트] 기둥의 갯수 (0) | 2019.09.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