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7.26
건축의 증개축 개념 중
'장소의 증개축' 개념에서 우리는 또한
'적응할 것이냐, 극복할 것이냐' 라는 선택의 문제에 놓인다.
주로 '극복'의 운명을 지닌 건물을 지으신 이은영 교수님의 대표작.
며칠전 다른과 친구에게 위치를 설명하는데 파고라 or 서양식 정자 건물이라고 했지만
쉽사리 이미지를 떠올리지 못하는 것을 발견했다. 호수에 그 기둥 막 박힌 건물이라고 하니 알아차렸다.
'테마의 증개축' 또한 이 시대 건축가들의 과제
[짧은 노트] 공간을 정의하는 특수한 방법 - 기둥 숲 (0) | 2019.09.23 |
---|---|
[발췌] 진정한 시민사회의 참여를 이끌어 낼수 있는 도시 구조, 그리스의 아고라 - 루이스 칸 (0) | 2019.09.23 |
[짧은 노트] 재료에 따른 구축의 방법 차이 (0) | 2019.09.23 |
[짧은 노트] 광장의 오벨리스크 배치_한양대 호수광장 (0) | 2019.09.23 |
[짧은 노트] 기둥의 갯수 (0) | 2019.09.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