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공모전] 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15: 우리의 어린이 도서관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25 주최측이 요구한 주니어 센터는 어린이 도서관 내지 어린이 유치원과 비슷하게 볼 수 있었다. 어린이들이 책상에 앉아 학습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자연을 벗삼아 뛰어 놀건, 집과는 다른 또다른 공간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휴식이 이루어지고, 어린이 성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이 되는 곳. 현대의 도서관은 무엇인가? 라는 도서관 테마에 대한 고민은 본인이 학부시절 때부터 해오던 고민이였다. 언제나 그 고민은 도시와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고민으로 귀결되었다. 그 주제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주제로 좀더 세분화 될 경우는 우리의 생각은 더욱 확신하게 되곤 했다. 우리의 이데아를 사진이..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5. 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