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의 구성원리] 5. 새로운 유형의 광장: 일리노이 공과대학 vs 헬레라우 학교 (2)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4.4 미국으로 건너와 시카고에서 본격적인 그의 미국에서의 커리어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IIT 캠퍼스 안은 그의 커리어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안을 시작으로 전통적인 둘러치기(recinto)원리(로마의 Foro광장 구성원리)에 변형을 시도한 매우 실험적인 안이였다. 현대의 대학 캠퍼스를 떠올려 본다면 이미 보편적인 캠퍼스 유형으로 자리 잡았지만 당시로서는 전통적인 학교의 캠퍼스 유형에서 탈피한 매우 혁신적인 캠퍼스 안이였다. 이번에는 IIT캠퍼스와는 다른 하인리히 테세노우(Heinrich Tessenow)의 헬레라우 무용 학교(Dalcroze Institute, 1911..
건축 속으로/광장의 구성원리
2020. 5. 5. 0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