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공모전] 사리면 Senior center_농어촌의 삶의 형태를 찾아 문화적 맥락 잇기-7: 열린 형태를 찾아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6.3.25 당시에 우리가 그 프로젝트 대상지를 자연의 장소로 해석하기 전 까지는 계속해서 해매고 있었다. 몇번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우리가 제대로 분석한 것이 맞는지 고민의 거듭을 계속했다. 이 시골 마을은 서울과 같은 도시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전원 속 혹은 산지에 퍼져 있는 촌락도 아니였다. 완전 평야 지대에 이루어진 전원의 도시랄까? 질서가 없는 것 같으면서도 질서가 있었고, 강을 중심으로 강 위 부분의 신주거 지역은 격자의 형태로 지어졌으며 강 아래 쪽의 마을은 무질서한 듯 가옥들이 퍼져 있었지만 몇개의 도로들의 마치 무질서의 도시 조직 속에 감자 뿌리 줄기처럼 각각의 조직을..
건축 속으로/포트폴리오
2020. 5. 5. 05:10